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.
|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| Previous revision | ||
| public:docs:generators_and_rivet [2022/02/22 13:25] – [Rivet 구동하기] Haesung Park | public:docs:generators_and_rivet [2022/04/07 05:07] (current) – Haesung Park | ||
|---|---|---|---|
| Line 49: | Line 49: | ||
| 기본적인 c++ 지식 필요 | 기본적인 c++ 지식 필요 | ||
| - | https:// | + | [[https:// |
| - | https:// | + | [[https:// |
| 등등 페이지를 참조하여 rivet 문법 확인 후 analysistitle.cc 파일에 작성 | 등등 페이지를 참조하여 rivet 문법 확인 후 analysistitle.cc 파일에 작성 | ||
| Line 117: | Line 117: | ||
| ===== Powheg 구동하기 ===== | ===== Powheg 구동하기 ===== | ||
| (작성중입니다) | (작성중입니다) | ||
| - | 준비물 | + | *[[https:// |
| + | LHAPDF, fastjet | ||
| + | |||
| + | <code bash> | ||
| tar xf LHAPDF-T.X.Y.tar.gz | tar xf LHAPDF-T.X.Y.tar.gz | ||
| cd LHAPDF-T.X.Y | cd LHAPDF-T.X.Y | ||
| Line 124: | Line 127: | ||
| make | make | ||
| make install | make install | ||
| + | </ | ||
| + | |||
| + | <code bash> | ||
| export PYTHONPATH=path/ | export PYTHONPATH=path/ | ||
| export LD_LIBRARY_PATH=path/ | export LD_LIBRARY_PATH=path/ | ||
| export PATH=path/ | export PATH=path/ | ||
| export LHAPDF_DATA_PATH=path/ | export LHAPDF_DATA_PATH=path/ | ||
| + | </ | ||
| + | <code bash> | ||
| tar xf fasjet-x.y.z | tar xf fasjet-x.y.z | ||
| cd fastjet-x.y.z | cd fastjet-x.y.z | ||
| Line 136: | Line 144: | ||
| make check | make check | ||
| make install | make install | ||
| + | </ | ||
| + | <code bash> | ||
| export PATH=path/ | export PATH=path/ | ||
| + | </ | ||
| + | |||
| + | POWHEG BOX | ||
| + | powheg box 메인 프로그램 설치 | ||
| + | <code bash> | ||
| + | $ svn checkout [--revision n] --username anonymous --password anonymous svn:// | ||
| + | </ | ||
| + | 설치 후 POWHEG-BOX-V2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| ||
| + | <code bash> | ||
| + | $ svn list [--revision n] --username anonymous --password anonymous svn:// | ||
| + | </ | ||
| + | User-Processes-V2 대신 원하는 process를 powheg box 리스트에서 찾아서 입력 | ||
| + | |||
| + | |||
| + | <code bash> | ||
| + | make pwhg_main | ||
| + | </ | ||
| + | 컴파일 끝나고 끝나면 powheg.input 파일을 원하는 설정으로 만들거나 cms-sw genproducts 안의 input 파일 찾아보고 사용 | ||
| + | |||
| + | 현재 확인한 구동가능한 process | ||
| + | : ttH, ttb_NLO_dec | ||
| + | (세부적인 사용방법은 각 process폴더 안의 doc 폴더 안에 존재) | ||
| + | |||
| ===== Sherpa 구동하기 ===== | ===== Sherpa 구동하기 ===== | ||
| + | Sherpa docker image | ||
| + | <code bash> | ||
| + | singularity run docker:// | ||
| + | </ | ||
| + | |||
| + | [[https:// | ||
| + | 기본적인 옵션들은 -h 참조 | ||
| + | |||
| + | 기본 구동 방법 | ||
| + | <code bash> | ||
| + | Sherpa Run.dat | ||
| + | </ | ||
| + | |||
| + | Run.dat 파일을 manual 참조하여 작성 후 구동 | ||
| + | |||
| + | ===== Pythia8 구동하기 ===== | ||
| + | <code bash> | ||
| + | singularity run docker:// | ||
| + | </ | ||
| + | |||
| + | Pythia8의 경우 main 파일을 직접 작성하여 구동 하는것이 원칙 이지만 | ||
| + | |||
| + | pythia8 내부의 example 폴더를 찾아보면 기본 main.cc 파일을 컴파일하여 main 파일을 사용할 수 있음 | ||
| + | |||
| + | [[https:// | ||
| + | |||
| + | 예시 구동 방법: | ||
| + | <code bash> | ||
| + | ./main89 main89mlm.cmnd output.hepmc | ||
| + | </ | ||
| + | |||
| + | |||
| + | ===== Herwig7 구동하기 ===== | ||
| + | <code bash> | ||
| + | singularity run docker:// | ||
| + | </ | ||
| + | |||
| + | herwig 환경 설정 | ||
| + | <code bash> | ||
| + | source activate | ||
| + | </ | ||
| + | |||
| + | 원하는 .in 파일을 찾거나 작성 후 | ||
| + | <code bash> | ||
| + | Herwig read XXXX.in | ||
| + | </ | ||
| + | read를 하고나면 XXXX.run 파일이 만들어져있고 | ||
| + | |||
| + | <code bash> | ||
| + | Herwig run XXXX.run | ||
| + | </ | ||
| + | run 파일을 구동 | ||
| + | |||